○ 전국행동은 2월 21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문화재청과 제주도에 마라도 반출 고양이 보호 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0여 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이번 기자회견에서 전국행동은 "뿔쇠오리를 포함한 마라도 야생 생물 보호에 뜻을 같이하며,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에는 동의한다"며, "그 과정에서 몰살당할 위협이 있는 고양이에 대한 보호 대책 또한 수립되어야 할 것"이라며 기자회견 개최 이유를 밝혔다.
○ 전국행동은 문화재청이 계획 초기부터 지금까지 고양이가 뿔쇠오리 개체수 감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지 못했음을 지적하며, 합당한 자료도 없이 고양이의 생명이 위협당할 만큼 중대한 조치를 강행하는 데에 유감을 표했다.
○ 게다가 문화재청의 반출 조치에는 이후 고양이의 안전을 보장할 적절한 보호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이의를 제기했다. 뿔쇠오리 보호를 위해 일말의 위협이라도 낮추기 위해 고양이 반출을 결정했다면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함에도 현재 문화재청은 반출 후 고양이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국행동은 "문화재청이 현재 대안으로 내세우는 입양, 타 지차체 양도, 육지 방사는 비현실적인데다 고양이의 목숨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면서, "이 상태라면 고양이들은 부적절한 곳으로 보내져 몰살의 수순을 밟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 전국행동은 뿔쇠오리 멸종에 마라도 고양이가 절대적인 존재인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제주 탐구자들의 조사 기록과 국립환경과학원의 발표 등을 살펴보면 뿔쇠오리는 번식할 때를 제외하면 육지에 오르는 일이 없이 생애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고, 접근이 힘든 바위 절벽 틈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고양이 보다는 다른 동물에 의한 요인이 더 클 것이라는 주장이 보다 설득력 있다는 것이다.
○ 2019년 서울대 연구팀 조사에 의하면 당시 마라도 고양이 개체수는 130여 마리로 추정됐으나, 세 차례의 중성화 사업이 이루어진 뒤 올해 2월 제주대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50마리에서 최대 70마리 정도로 추정된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마라도 내 고양이 개체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양이로 인한 조류의 위협 수위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다.
○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는 "생태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데 고양이만 뿔쇠오리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 보고 제거하면 된다는 방식은 지나치게 일차원적인 접근"이라며 "자연 상태에서 쥐를 방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양이를 반출할 경우 쥐로 인한 피해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뿔쇠오리를 비롯한 조류 보호를 위해 보다 근본적인 대안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 사회를 맡은 제주비건 김란영 대표는 "문화재청의 일방적인 조치에 제동을 걸기 위해 어제부터 조직한 연대체에 벌써 30개 이상의 단체가 참여 의사를 밝혀올 만큼 이번 조치에 문제를 제기하는 시민들이 많다"면서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이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진정으로 생명을 존중하는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