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자유연대 : 식용 사육 개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결과와 동물자유연대의 주장

반려동물

식용 사육 개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결과와 동물자유연대의 주장

  • 동물자유연대
  • /
  • 2017.08.28 10:43
  • /
  • 5028
  • /
  • 134
식용 사육 개들의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결과 2017 [동물자유연대].pdf

동물자유연대는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3R동물복지연구소에 의뢰해 식용으로 사육하는 개농장에서의 항생제 사용 실태 등을 연구 조사했으며, 본 연구는 전국 재래시장을 조사한 국내 첫 실태조사이다.
 
조사 결과
 
조사는 전국 12개 지역에 분포한 재래시장의 각각의 업소에서 채집한 93개 샘플 중에서 2/3에 이르는 61(65.4%) 샘플에서 8종의 항생제가 검출됐다. ·도축산물시험검사기관에서 검출한계 미만은 불검출 처리 하는 점을 감안해 검출한계 미만을 제외한 정량한계 이상과 정량한계 미만-검출한계 이상의 샘플비율로 계산하면 42개의 샘플이 항생제가 검출된 결과가 나온다. 샘플의 절반에 가까운 45.2%이다. 이는 일반축종을 총합한 축산물의 항생제 검출 비율 0.47%96에 달하는 수치이다. 심지어 2종 이상의 항생제가 검출된 샘플은 29개로 31.2% 달한다.
이로써 그동안 동물자유연대 등 동물보호단체들이 제기한 개농장에서의 항생제 남용 의혹이 사실로 확인됐다.
 
함께 진행된 미생물 배양검사에는 다양한 세균이 검출됐다. 그 중에는 대장균도 포함돼 대장균의 변종 중 하나인 햄버거병의 원인균인 항원형 O157:H7의 검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이번 조사가 종합검사로 진행돼 세부적인 종까지 확인 되지는 않았다.
조사에서 나타난 세균문제 또한 항생제만큼 심각하다. 대장균을 비롯해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spp.) 등 사람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균들이 검출됐다. 이를 통해 사육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개고기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거의 모든 과정이 사람이 먹기에는 부적절한 생산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개식용에 대한 우리사회 현주소
 
한국 사회는 반려동물 인구 1000만 시대에 있으며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반려동물은 그 중에서도 개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개를 키우는 사람이 늘어난다는 것은 개와의 정서 교감을 통해 한국 사회에 잔존하고 있는 개식용에 대한 거부감이 문화적으로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살아있는 개를 진열하고 도축해서 파는 재래시장 곳곳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개식용 금지를 염원하는 시민들이 자발적 모임을 형성하며 개 도살 및 유통 금지를 위한 시장 폐쇄와 업종 전환을 요구하는 집회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시민들은 동물보호단체가 조직한 것이 아닌,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에 의해 전파되고 모이면서 각 곳에서 여럿의 풀뿌리단체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이는 개식용에 대한 국민 인식 지표중 하나이며 사회 현상의 현주소이다.
 
개식용에 연관된 산업은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국내 최대 유통지인 성남 모란시장은 2000년대 초 상설시장의 업소가 54개소였으나 2017년 초 22개소로 축소됐다. 2016년 언론들의 개식용 관련 보도는 소비 감소 및 사양산업에 초점을 둔 기사를 많이 다루었다. 이렇듯 사회 곳곳에서 개식용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어 한국사회는 개식용 합법화가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사회로 치닫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국회는 개식용 문제를 계속 방치하고 있다. 그러는 동안 개 사육 및 운송, 도살 과정에서의 발생하는 동물학대와 개를 먹는 사람들 역시 안전의 위협에 계속 방치되고 있다.
 
 
동물자유연대의 주장
 
손 놓고 있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개 식용사육 금지 해결책 수립에 나서야 한다.
 
개농장의 항생제 남용 문제는 근본적으로 개들이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환경에 노출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그 영향이 동물에게서만 끝나지 않는다. 항생제의 남용은 내성균을 양성하며, 이는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개 사육장에서 항생제 오남용 실태가 이러한 데에도 불구하고 농림축산식품부는 개농장 및 사육 실태 파악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축산법상 개가 가축에 포함되고 있으므로 농림축산식품부는 향후 대책 마련의 책임이 있다. 전국적인 개 사육실태 현황 조사를 통해 개식용 사육을 종식하기 위한 대책안을 수립해야 한다.
 
음식쓰레기가 개들의 먹이로 공급되면서 개사육장의 존립 기반이 되고 있었다. 개의 열악한 사육 환경과 불결하고 비위생적인 음식쓰레기의 급식은 개가 질병에 취약한 조건이 되고 이는 항생제 사용을 부추기게 된다. 현 상황의 재발 방지를 위해 환경부는 개사육장에 음식물쓰레기를 공급을 금지시켜야 한다.

현장 조사 결과 중소규모 농장주들은 폐업 의지를 드러내고 있었다. 그만큼 개식용 산업이 되돌릴 수 없는 사양화의 길을 걷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와 국회는 이러한 변화를 뒤쫓는 것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이끌어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할 의무가 있다. 책임있는 자세와 실행을 요구한다.